조용한 반찬이 제일 오래 간다, 두부처럼
오늘 밥상 , 조용한 결심 하나 두부를 세 가지로 준비했다. 배추와 함께 맑은 국물로 끓이고, 반은 지져서 덜어내고, 나머지는 빨갛게 조려냈다. 모양은 달라도, 맛은 달라도, 두부는 늘 자기 자리를 지킨다. 어느 밥상 위에서도 튀지 않고, 그러나 빠질 수 없다. 그 조용한 힘이 있다. 요즘 정치판을 보면, 너무 많이 말하고, 너무 쉽게 사라진다. 잠시 반짝이는 말, 요란한 퍼포먼스에 사람들은 눈을 돌리지만, 끝까지 남는 건, 조용히 일하던 사람들이다. 크게 말하지 않아도, 자기 자리를 지키는 사람. 두부처럼 말이다. 세 가지 요리를 만들면서 생각했다. 나는 어떤 사람이고 싶은가. 빨간 양념을 두른 조림이어도 좋고, 국물 속에서 배추와 함께 조용히 끓고 있어도 좋다..
2025. 5. 21.
이번엔 밥까지 비벼졌다. - 메추리알조림처럼, 조화로운 정치를 꿈꾸며.
*메추리알양배추고기조림* 오늘 밥상엔 색다른 메추리알조림이 올라왔습니다. 돼지고기 다짐육을 볶고, 양배추를 썰어 넣고, 그 위에 까진 메추리알을 올려 조림 양념으로 자작하게 졸였죠. 조림을 숟가락으로 툭 떠 밥 위에 올리는 순간, 한 그릇의 맛이 완성됩니다. 고기, 채소, 달걀. 각자의 맛이 있되, 밥과 어울릴 때 진짜 역할이 드러나는 조합이죠. 예전의 조림은 달랐어요. 메추리알만 강조됐고, 고기는 따로, 양배추는 설익었고, 간은 겉도는 느낌이었어요. 그땐 내부에서도 서로 따로 놀았으니까요. 당 안에서도, 조율 없이 자기 목소리만 냈던 지난 대선의 풍경처럼요. 하지만 지금은 달라요. 고기와 채소와 달걀이 따로 놀지 않고, 하나의 양념으로 졸여지고, 조용..
2025. 5. 12.